본문 바로가기

feign2

Feign 사용 (2) Circuit Breaker 적용 API 통신에서 서킷 브레이커를 적용해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고, 이 역시 처음 듣는 용어라 일단 이해를 위해.. Circuit Breaker 란? 회로차단기로 불리며, 전기적 회로를 과전압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에서 장애의 확산을 막기위해 (결함을 격리) 사용되는 패턴의 일종 Netflix 의 Hystrix가 있음 즉, 통신에 문제가 있을 때, pool 을 계속 점유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, 차단기를 open 하여 격리한다고 생각하면 될 거 같다. 뭔가 개념적으로는 이해가 되면서도 헷갈리는 개념이랄까나.. (이해안됐다는 소리...?) 여하튼 본론으로 들어가서 이전에 적용했던 Feign 에 서킷브레이커를 적용시켜보도록 함. resilience4j-feign 을.. 2022. 7. 14.
Feign 사용 (1) 이번 API 통신을 하면서 Feign 을 사용해봤는데, 어떻게 사용했는지 적어보고자 함. Feign 이란? Java to HTTP client binder Netflix 에서 개발함 https://github.com/OpenFeign/feign 이라고 간단하게만, API 통신을 이용해서 개발할 필요가 생겼는데, API 를 통하여 개발해 본 적이 없기에 그래서 무작정 구글링 시작 -> httpClient 를 이용해서 통신하는 것을 알게 됨 -> 관련 코드를 보면서 분석 시작 -> Spring 에서는 restTemplate 를 이용한다는 얘기를 들음 -> restTemplate 구글링 및 테스트 코드 작성 -> Feign 이라는 것을 들음 -> Feign 적용해보자 라는 흐름으로 진행. (무려 하루만에 진행.. 2022. 7. 14.